<2007년 한국여성학회 제 23차 춘계학술대회>
"여성학의 쟁점과 젠더질서의 재편"
일시: 2007년 6월 9일(토) 10:00-18:00
장소: 숙명여자대학교 진리관(대학원관)
주최: 한국여성학회
주관: 한국여성학회․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
10:00-10:30 등록 및 개회사 (진리관 B101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1분과(탈)식민주의, 역사, 성 (진리관 306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0:30-12:30 사회: 김소영(예술종합학교 영상원)
1. 식민자인가 자매인가: 쯔다 세츠코를 통해서 본 식민주의와 페미니즘
발표 : 안태윤(경민대학교 교양학부)
토론 : 소현숙(한양대학교 사학과)
2. 국가규제 성매매 제도의 형성에 관한 연구: 미군정시기(1945-48)를 중심으로
발표 : 이나영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 : 박정애(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)
3. 안나 메이 웡(Anna May Wong): 헐리우드에서의 젠더/인종 정체성(ethnic identity)의 재현과 타자를 연기하기
발표 : 이지연(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)
토론 : 김선아(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2분과한국․독일의 성평등정책 비교 (진리관 307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0:30-12:30 사회: 황정미(한국여성개발원)
1. 한국과 독일의 여성정책 비교연구: 선거 여성후보할당제 정책을 중심으로
발표 : 문경희(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) [공동저자: 김은경(한국여성개발원)]
2. 한국과 독일의 남녀고용평등정책 비교
발표 : 김미성(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)
토론 : 장명선(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센터)
3. 한국과 독일의 성매매정책 비교
발표 : 유숙란(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)
4. 한국과 독일의 STE 분야 성평등정책 비교분석: 여교수 확대 정책을 중심으로
발표 : 안재희(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)
토론 : 김경희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대학원생 분과1 (진리관 308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0:30-12:30
1. 한국에서 “시민”으로서 결혼이주여성 형성과정
발표 : 정선애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2. 성별화된 자기계발담론과 여성주체
발표 : 정가영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3. 30대 기혼여성의 팬덤과 나이의 문화정치학:‘동방신기’팬덤을 중심으로
발표 : 오자영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4. 문화적 텍스트 속에 숨겨진 여성 내러티브 찾기: 아서밀러(Arthur Miller)의 크루서블(The Crucible)을 중심으로
발표: 송의숙(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)
토론: 배은경(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), 김영옥(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)
12:30-13:45 점심식사 및 이사회 (점식식사-본관(순헌관)교직원식당/이사회-진리관 504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3분과글로벌 맥락에서 본 여성주의 의제들 (진리관 306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3:45-15:45 사회: 김현미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1. 아시아 문화콘텐츠 산업과 여성 재현
발표 : 양민석(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)
토론 : 김애령(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)
2. 남성성의 위기 : ‘남성'들의 연애이야기를 중심으로
발표 : 변혜정(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)
토론 : 주은우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3. 공간 정치학에서 본 아시아의 글로벌 시티, 개발, 여성
발표 : 윤혜린(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)
토론 : 김현미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4분과고학력 비혼여성의 새로운 시공간 (진리관 307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3:45-15:45 사회: 이상화(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)
1.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젠더: 고학력 여성들의 글로벌 욕망과 불안에 관한 연구 (1986 - 2006)
발표 : 강윤정(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)
2. 한국 여성의 자유배낭여행 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:‘아시아’지역을 홀로 여행하는 20-30대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
발표 : 김선화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토론 : 김신현경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3. 20,30대 고학력 싱글 직장 여성들의 소비의 정치학
발표 : 모현주(연세대학교 청년문화원)
4. 고학력 비혼여성의 독신문화에 관한 연구: 새로운 생애단계의 사회적 구성
발표 : 김소라(서울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 : 로리주희(웹진 줌마넷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5분과노동과 가족 (진리관 308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3:45-15:45 사회: 오재림(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)
1. 이혼여성 한부모가족의 비혼여성(딸)의 경험과 대처방안
발표 : 김나희(여성긴급전화 서울1366)
토론 : 손승영(동덕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2. 사회복지사들의 돌봄노동에 관한 연구
발표 : 박수경(가톨릭대학교 평생교육원)
토론 : 안 진 (광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)
3. 취업여성의 비정규직 수용과 저항
발표 : 박은수(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)
토론 : 은수미(한국노동연구원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대학원생 분과2 (진리관 309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3:45-15:45
1. 복지개혁의 젠더정치: 클린턴 행정부의 ‘빈곤가정 일시 부조정책’ 도입을 중심으로
발표 : 김해리(서울대학교 정치학과)
2. 국회회의록을 통해 본 일․가족 양립정책 담론에 관한 연구
발표 : 김민희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3. 돌봄노동의 상품화 과정에 관한 연구: 가사서비스노동자의 모성노동경험을 중심으로
발표 : 강은애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 : 백진아(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), 김수정(동아대학교 사회․사회복지학부)
15:45-16:00 휴식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6분과여성경험과 젠더구조 : 방법론과 질적연구 (진리관 306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6:00-18:00 사회: 조주현(계명대학교 여성학과)
1. ‘식민지 근대성’의 젠더 구조 분석을 위한 비교․역사 방법론 연구
발표 : 김영선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토론 : 김수진(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)
2. 고학력 미취업 지역여성의 구직활동 경험사례에 관한 질적 연구: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
발표 : 유명의(동신대학교 여성문화연구소)[공동저자 : 서리나(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)]
3. 한국정당조직에서의 여성차별에 관한 연구: H정당 여성당직자를 중심으로
발표 : 조용남(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 : 오장미경(전남대학교 사회학과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제7분과사회운동과 젠더쟁점 (진리관 307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6:00-18:00 사회: 장필화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1. 1990년대 대학 반성폭력 운동에 관한 연구
발표 : 김보명(서울대학교 여성학협동과정)
토론 : 나임윤경(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)
2. 한국사회의 병역거부 운동을 통해 본 남성성 연구
발표 : 강유인화(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)
토론 : 권인숙(명지대학교 교양학부)
3.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화 과정의 차이: 미국과 영국의 페미니스트조직을 중심으로
발표 : 신상숙(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)
토론 : 이미경(한국성폭력상담소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대학원생 분과3 (진리관 308호)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16:00-18:00
1. 한국 성노동자운동에 관한 연구
발표 : 국경희(중앙대학교 사회학과)
2. 재생산 기술을 통한 ‘정상성’획득: 불임경험의 비가시화와 생명공학기술의 발전
발표 : 김선혜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3. 한국의 간통죄 조항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변화: 1953년 도입 당시와 90년대 이후의 폐지논란을 중심으로
발표 : 김지희(서울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: 고정갑희(한신대학교 영문학과), 하정옥(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