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06년 한국여성학회 제 22차 춘계학술대회
한국여성학 연구의 쟁점들 Ⅰ
일시: 2006년 6월 10일 (토) 9:30-18:00
장소: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 153호
주최: 한국여성학회
9:30-10:00 등 록
10:00-10:10 개회사 및 인사말 (포스코관 153호)
이상화 (한국여성학회장)
제1분과
성주류화 정책과 성별영향평가 (포스코관 152호)
10:10-12:30 사회: 백영경 (존스 홉킨스 대학 인류학과)
1. 문화예술은 젠더 중립적인가
발표: 김영옥 (이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)
토론: 황정미 (한국여성개발원)
2. 성주류화의 정책 전환적 성격과 함정: 성별영향평가를 중심으로
발표: 김경희 (중앙대 사회학과)
토론: 차인순 (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입법심의관)
3. 지역의 성주류화, 어디까지 왔나
발표: 신경아 (상지대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연구교수)
토론: 양민석 (이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)
제2분과
몸, 젠더, 권력 (포스코관 153호)
10:10-12:30 사회: 임인숙 (고려대 사회학과)
1. 몸권력과 젠더
발표: 이영자 (가톨릭대 사회학과)
토론: 조주현 (계명대 여성학과)
2. 여성의 자위: 그 내밀한 스펙트럼
발표: 정나도 (전북대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사과정)
토론: 서정애 (충남대 강사)
3. 타투미학의 타자성: 대안적 여성 미학으로의 가능성 모색
발표: 이현주 (대구보건대학 뷰티코디네이션과 조교수)
토론: 정희진 (서강대 강사)
4. 몸 관리 산업의 확산과 근대적 여성성의 재구성
발표: 정세진 (고려대 한국사회연구소)
토론: 조현순 (경희대 영어학부)
12:30-14:00 점심식사 및 이사회
제3분과
글로벌 현상으로서의 신여성과 재현의 정치경제학 (포스코관 153호)
14:00-17:00 사회: 양현아 (서울대 법학과)
1. 신여성의 표상 이미지에서 재현되는 ‘신(新)’의 의미에 관한 연구: 나혜석을 중심으로
발표: 김은실 (이화여대 여성학과)
2. 신여성의 시각적 재현
발표: 김소영 (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)
3. 미국 신여성(플래퍼)의 재현 양상: 한국적 수용 양상 고찰을 위한 패러다임 연구
발표: 박현숙 (이화여대 아시아 여성학센터 전임연구원)
4. 1920-1930년대 ‘新女性’과 자유연애/결혼: 첩과 제이부인 담론의 경합을 중심으로
발표: 정지영 (이화여대 여성학과)
5. 근대 소비 공간 카페의 직업여성으로서 여급의 정치경제학적 의미: 1930년대 카페 웨트레쓰의 생활수기를 중심으로
발표: 이성은 (이화여대 아시아 여성학센터 전임연구원)
6. 식민지 조선의 ‘모던걸’: 1920-30년대 경성 거리의 여성 산책자
발표: 서지영 (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)
토론: 김경일 (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과), 김수진 (연세대 국학연구원 전임연구원), 홍양희 (한양대 강사)
제4분과
성과 계급 (포스코관 151호)
14:00-16:00 사회: 공미혜 (신라대 여성학과)
1. 한국 성매매 방지법과 가부장적 여성주의 오리엔탈리즘: 성노동자가 말할 수 있는가?
발표: 이성숙 (한양대 강사)
토론: 원미혜 (중앙대 강사)
2. ‘재화의 흐름과 구조화’의 관점에서 본 성과 계급
발표: 홍찬숙 (서울대 여성학 협동과정 강사)
토론: 배은경 (서울대 여성학과)
제5분과
초국가 여성의 현실 (포스코관 152호)
14:00-16:00 사회: 권인숙 (명지대 여성학)
1. 한국문학에서 기지촌 여성과 아메라시안에 대한 연구: 젠더, 민족주의, 고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
발표: 김미덕 (미국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학 정치학과 박사과정)
토론: 이소희 (한양여대 영문학과)
2. 한국계 미국 여성의 빈곤문제
발표: 민경희 (충북대학교 사회학과)
토론: 김안나 (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)
3. 국제이주노동과 젠더: 배제와 제한된 포용
발표: 이선주 (한국여성개발원)
토론: 이혜경 (배재대 사회학과)
제6분과
새로운 여성운동의 의제 (포스코관 151호)
16:20-18:00 사회: 윤형숙 (목포대 역사문화학부)
1. [샬롯의 거미줄]에 나타난 여성리더십
발표: 조무석 (숙명여대 영어영문학부)
토론: 양윤정 (한라대 영문과)
2. 지방의제21의 성(gender)관점화와 여성의제의 방향
발표: 이혜숙 (경상대 사회학과)
토론: 김정희 (이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)
3. 포스트 민주화 시기 한국 여성운동의 재지도화,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재구성:
지역, 국가, 지구적 수준의 분석
발표: 허성우 (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)
토론: 박인혜 (여성의전화연합 상임대표)
제7분과
FTA 리포트 (포스코관 152호)
17:00-18:00 사회: 김소영 (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)
발표: 심광현 (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)
이해영 (한신대 사회학과)